C# 23

C# 자료형

모든 언어에는 자료형이 존재하고 C#만의 자료형이 있음. 위는 많이 쓰이는 자료형을 변수에 저장한 것. 변수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메모리 공간을 말함 int i = 1; // i 는 변수의 이름 변수를 선언했을 때 메모리 공간이 생기며 메모리 주소도 같이 생김. 이 메모리 주소는 메모리 공간을 가리키는 하나의 지표. 그리고 대입 연산자( = ) 를 통해 이 메모리에 값을 넣음. 생성하기만 하면 그저 공간만 생성 될 뿐임. 여기서 주의할 점. 변수를 선언만 하고 아무런 값도 넣지 않으면 쓰레기 값이 들어감. 이는 의도치 않는 동작을 유발함. 그러므로 변수를 선언하면 바로 초기화(Initialization) 작업을 해줘야함.(중요)

C# 2022.04.25

C#과 프로그래밍

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리기 위해서는 기계어를 써야하는데 기계어는 굉장히 어려움. 이를 사람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든 것이 프로그래밍 언어. 그 시작이 바로 어셈블링어(Assembly)이다. 이 프로그래밍 언어라는건 단지 언어이며 컴퓨터는 실제로 이 언어를 이해하지 못 한다. 그래서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계어로 변환 하는 작업을 컴파일(Compile) 이라고 한다. 어셈블리어로 코드를 작성 후 컴파일러 라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실행 파일로 만듭니다. 그리고 이 실행 파일을 프로그램(Program)이라고 부름. 대표적인 소프트웨어가 바로 Visual Studio C#이란 C++을 계승한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 실제론 C++ 코드를 C#에 적용하지 못함. 단지 닷넷(.NET)을 위한 언어 파이썬..

C# 2022.04.25

C# CLR

Common Language Runtime C#을 프로그램으로 만들기 전 중간 과정 C#의 C/C++과의 차별점 CLR 과정을 거처 다른 언어를 사용할 수 있게 지원 이때 서로 다른 언어들이 만나는 지점을 IL이라는 중간 언어이며 이 언어로 쓰여진 코드를 CLR이 다시 자신이 실행한 플랫폼에 맞춰서 컴파일 함. 순서 C# 컴파일 > IL생성 > CLR > 실행파일 *IL 생성후 CLR이 읽는 작업을 JIT(Just in Time) 컴파일이라고 함. JIT컴파일이란 실행에 필요한 코드를 실행 살때마다 실시간으로 컴파일해서 실행. 순서를 다시 정리 하면 C# 컴파일 > JIT 컴파일 > 실행파일 즉, 컴파일을 2번하는 것 컴파일을 2번 함으로써 기계에 보다 더 최적화 됨으로써 최고의 성능을 내는 방식의 컴파..

C# 2022.04.25